품질관리 > 사업소개 > 품질관리

품질관리

표준화, 규격화, 안전성 검사, 기준설정 새로운 의미로 차별화된 가치를 총괄적으로 지칭

제조 관리

GMP, HACCP 인증 제조 시설 제형별 생산 시설을 갖추고 직접 제조하여 믿을 수 있습니다.

위생 관리

제조 시설 및 개인 위생 관리 현장 위생 점검 및 작업자 위생교육 주기적인 생산 라인 점검

㈜대한홍삼진흥공사는 원료부터 제품 출고까지 품질관리·제조관리·위생관리를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우수한 품질을 보장합니다.

모든 제품은 자동화 시스템으로 철저한 품질 관리를 통해 생산되고 있습니다.

품질 관리 절차 및 내용

  1. 품질 관리

    공정의 표준화
    제품의 규격화
    저장·보관·출하 기준 설정
    보존기간 및 유통경로 관리
    식품이력추적관리
    안전성 검사(잔류농약 분석, 벤조피렌 분석, 중금속 분석 등)
    제품 규격 검사(이화학 분석, 미생물 분석, 식품 관능검사)

  2. 제조 관리

    제조시설 라인 점검
    원료 및 자재 입출하 검수
    공정별 작업 모니터링

  3. 위생 관리

    현장 위생 점검 및 개인 위생 관리
    주기적 작업자 위생교육
    방충방서 관리
    공조 관리
    장비기구류 청소방법 유효성 평가와 규격화

GMP는 무슨 뜻인가?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란 “Good Manufcturing Practice”의 약칭이며, “품질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요건을 설정한 기준”으로, 건강기능식품제조업소가 우수한 품질이 보장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제정한 구조・설비와, 제조관리 및 품질관리 등에 관한 기준의 규범이다.

품질이 보장된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공장의 구조와 설비를 비롯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자재등의 구입부터 제조, 포장 등 모든 공정관리와 출하에 이르는 제조 및 품질관리 전반에 걸쳐 지켜야 할 사항을 규정한 기준이다.

HACCP은 무슨 뜻인가?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해 식품의 원재료 생산, 제조, 가공, 보존, 유통을 거쳐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식품을 섭취하기 직전까지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한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를 말한다. HACCP는 위해요소분석(HA : 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CP : critical control points)으로 나뉜다. HA는 원료와 생산공정에서 위해가능성 요소를 찾아 분석 평가하고, CCP는 해당 위해요소를 예방 및 제거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점으로 다루어야 할 관리점을 말한다.

HACCP 개념은 1960년대 초 미국 우주계획에서 무결점 식품공급 기준으로 채택되면서 처음 적용되었다가 1980년대 들어 일반화 되었다. 1993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도 HACCP를 식품위생 관리지침으로서 채택하였었다. 또한, 1997년부터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는 HACCP 제도를 미국에서 유통되는 모든 수산식품에 대해 강제적으로 적용할 것을 결정한 바 있다.

위로 가기 버튼